최근 글로벌 자동차업계의 화두는 전기차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러가지 부정적인 이슈로 인해 판매전망이 밝지만은 않은 상태입니다.
최근 자동차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에서 진행한 자동차 구입의향에 관한 조사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구매 의향 하락과 연료 타입의 변화
최근 수년 동안 전기차의 판매량이 급증해왔지만, 지난 해 들어 판매량이 감소하며 구매 의향도 크게 하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컨슈머인사이트가 진행한 기획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전기차의 구매 의향이 10% 하락한 반면, 하이브리드는 7% 상승하여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2023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새로운 차를 구매하려는 소비자들 중 38%가 하이브리드를 원하고, 36%는 가솔린을 선호하며, 전기차는 15%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격, 비용, 안전성의 영향
컨슈머인사이트는 이러한 극적인 변화의 주된 원인으로 가격, 비용, 안전성을 지목했습니다. 가격 측면에서는 중국 전기차 시장의 가격 경쟁이 치열해져 소비자들에게 높은 성능의 차를 저렴한 가격에 제공할 기대가 높아졌습니다. 그 결과 소비자들은 더 나은 제안을 기다리며 구매 계획을 유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용 측면에서는 전기차의 가격은 낮아지고 있지만 운용 비용은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충전과 관련된 시간과 심리적 부담이 보급 확대에 따라 커지고 있는데, 이는 얼리어답터와 대중 소비자 간의 차이로 나타났습니다.
안전성 측면에서는 화재와 급발진 등의 이슈로 전기차에 대한 의구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2023년 10월에 전기차를 '신종 재난 위험요소'로 지정하며 소비자들의 구매 망설임을 촉발시켰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과 국내 전기차 시장의 차이점
국내 전기차 판매량은 2023년에 10.5만대로 감소하며 수요 감소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국내외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측되며, 가격 외에도 상품, 기능, 인프라, 서비스 등에서의 경쟁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한편, 글로벌 시장에서도 전기차 수요의 감소가 예상되나, 한국시장은 글로벌 시장에 비해 적자생존의 장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세상의 모든 모빌리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10 신형 코란도 하이브리드 출시예정일 (2) | 2025.03.21 |
---|---|
테슬라 모델3 모델Y 중국서 가격인하(feat.한국 가격인하?) (0) | 2024.01.12 |
XM3 E-TECH 하이브리드 FOR ALL' 출시(feat.400만원 할인) (0) | 2024.01.03 |
중저가 전기차 대중화의 원년이 될까?(feat.기아 EV3, EV4, KG O100) (0) | 2024.01.02 |
유럽 전기차 보조금 정책 변화, 국내 전기차 살아남을까? (0) | 2023.12.22 |